반응형
오늘은 주식 초보자들이 헷갈려하는 두 가지 용어,
PER와 PBR에 대해 한숟갈 뜨듯 가볍게 정리해드릴게요!
뉴스 보거나, 주식 앱 보다 보면
“PER 낮다”, “PBR 1 미만” 이런 말 자주 보셨죠?
근데 이게 뭐지? 외계어 같으셨다면,
오늘 이 글로 완전 정리하고 가세요!
✅ PER이란?
PER = Price /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해요.
쉽게 말해,
이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이는 이익의 몇 배 가격으로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지 알려주는 수치예요.
🧮 예시로 보면 더 쉬워요!
- A회사 주가: 10,000원
- A회사 1주당 순이익(EPS): 1,000원
- PER = 10,000 ÷ 1,000 = 10배
즉, 10년 동안 이익을 쌓으면 지금 주가만큼 벌 수 있다는 의미예요!
🔍 PER이 낮으면 좋은 거야?
- PER이 낮다 → 이익 대비 주가가 싸다! (저평가 가능성!)
- 하지만! 단순 비교는 금물
→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정확해요
→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PER이 높아도 괜찮아요
✅ PBR이란?
PBR = Price /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이에요.
이건 좀 더 자산 쪽에 초점이 있어요.
이 회사가 가지고 있는 순자산(=청산가치) 대비 주가가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예요.
🧮 예시 들어볼게요!
- B회사 주가: 5,000원
- B회사 1주당 순자산: 10,000원
- PBR = 5,000 ÷ 10,000 = 0.5배
이 말은, 지금 주가가 회사 순자산의 절반밖에 안 된다는 뜻!
→ 저평가된 상태일 수 있어요.
🔍 PBR이 낮으면 무조건 좋은 거야?
- PBR 1 미만이면, 자산보다 주가가 싸다
- 하지만! 망할 기업은 싸도 싸지 않은 거일 수도...
→ 역시 비교 대상, 업종 특성 고려 필수!
🍚 몽시스의 한숟갈 정리!
용어 | 뜻 | 의미 | 해석 팁 |
PER | 주가 / 순수익 | 이익 대비 주가 | 이익 내서 몇년 만에 본전? |
PBR | 주가 / 순자산 | 자산 대비 주가 | 청산가치보다 싸게 거래되나? |
이제부터는
“PER이 낮네?” “PBR이 0.6이야?” 같은 말 들어도
"흐음, 저평가일 수도 있겠네?" 하고 고개 끄덕일 수 있겠죠? 😊
다음 한숟갈에서는
👉 “첫 종목 고르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정리해드릴게요!
반응형
'🍚 몽시스의 주식 한숟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할 때 감정 조절 어떻게 해요? (1) | 2025.04.14 |
---|---|
주식 차트, 꼭 봐야 해? 쉽게 보는 법 알려줄게! (2) | 2025.04.10 |
주식 첫 종목 고르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0) | 2025.04.09 |
주식 계좌 개설, 10분이면 끝! (2025 최신 가이드) (2) | 2025.04.06 |
주식이 뭐야? 진짜 쉽게 알려줄게! (1)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