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몽시스의 주식 한숟갈38

배당주란? 💸 배당이란?기업이 이익을 내면 일부를 주주에게 나눠주는 걸 말해요.이걸 ‘배당금’이라고 해요. 주식으로 수익을 얻는 방법 중 하나죠. → ‘배당주’는 배당금을 꾸준히 주는 기업의 주식이에요.→ 예: KT&G, 삼성전자, 하나금융지주 등 📅 배당은 언제 받는 걸까?한국 주식 시장에선연 1회, 12월 말 기준으로 주주명부에 올라야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그래서 배당락일 이전에 매수하는 게 중요해요. → ‘배당락일’이란?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이에요!이 날 주식을 사면 배당을 받을 수 없어요. 🔍 배당주 투자 포인트 1. 배당수익률 확인: 연간 배당금 ÷ 현재 주가→ 보통 3~6%대면 양호하다고 봐요! 2. 지속 가능성→ 몇 년간 꾸준히 배당을 했는지, 배당 성향은 어떤지 확인해요. 3. .. 2025. 7. 7.
코스피(KOSPI) VS 코스닥 (KOSDAQ) 뭐가 다를까 ? 📈 코스피(KOSPI)란?코스피는 한국 증권시장의 중심이자대기업, 안정적인 기업들이 상장된 시장이에요. 대표적으로 • 삼성전자 • 현대차 • SK하이닉스같은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지요. 👉 코스피는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은 만큼장기투자나 배당 중심 투자에 적합해요. 📈 코스닥(KOSDAQ)란?코스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형 기업들이 모인 시장이에요.IT, 바이오, 게임, 2차전지, 콘텐츠 같은신산업 중심의 기업들이 많아요. 예를 들어, • 에코프로 • 셀트리온헬스케어 • 펄어비스 등은코스닥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대표 종목이에요. 👉 코스닥은 수익률 기대는 크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높은 시장이에요.짧은 기간에 크게 오르거나 떨어지는 일이 잦죠. 📌 코스피 vs 코스닥, 뭐가 .. 2025. 7. 4.
우량주란? 우량주란 말 그대로 ‘우수한 기업의 주식’이라는 뜻이에요.구체적으로는 재무 상태가 안정적이고, 실적이 꾸준하며, 시장에서 신뢰를 받는 기업의 주식을 말하죠. ✅ 우량주의 조건은?1️⃣ 지속적인 수익 창출 • 매년 흑자를 내고 배당도 꾸준한 기업 • 경기 불황에도 잘 버텨요 2️⃣ 높은 시장 점유율과 브랜드 가치 • 대표 업종의 1~2위 • 소비자/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큼 3️⃣ 재무 건전성 • 부채 비율이 낮고, 유보율이 높음 • 현금흐름이 안정적이에요 4️⃣ 기관 투자자의 꾸준한 수요 • 연기금,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주 매수 • 장기적 관점에서 믿을 만한 종목이라는 뜻 📌 대표적인 우량주 예시 •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 SK하이닉스 • 현대차 • POSCO홀딩스 등 👉 대부분 시가총.. 2025. 7. 3.
PBR이란? PBR은 Price to Book Ratio, 즉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해. 기업의 순자산(자산 - 부채)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보여주는 지표야.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B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BPS가 10,000원인데 주가가 20,000원이라면? → PBR = 2.0 (자산 가치보다 2배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뜻!) ✅ PBR이 낮으면 좋은 거야?일반적으로 PBR이 1.0보다 낮으면 저평가, 1.0보다 높으면 고평가로 보기도 해. 하지만 업종마다 기준이 다르고,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야! 낮은 PBR = 시장의 신뢰가 낮은 기업일 수도 높은 PBR = 브랜드 가치나 미래 성장성을 반영한 가격일 수도 있어 그래서 항상 ROE, PER 등 다른 지표와 함.. 2025. 7. 2.
시가총액? 그냥 ‘몸값’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시가총액(시총)은 쉽게 말하면 ‘그 회사의 현재 주식 시장에서의 몸값’이에요.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에 현재 주가를 곱한 것이 시총이에요. 시가총액 = 주가 × 총 발행 주식 수 예를 들어,삼성이 1주에 80,000원이고 총 60억 주를 발행했다면?→ 80,000 × 6,000,000,000 = 약 480조 원 이렇게 계산된 숫자가 바로 삼성전자의 시총이에요. 🔍 시총이 왜 중요한가요?시총은 투자 판단의 기준이 돼요. • 시총이 크면 시장 신뢰도 높고 안정적인 대형주 • 시총이 작으면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성이 큰 소형주 ETF 구성 기준도 대부분 시총 상위 종목 위주고,KOSPI200, KOSDAQ150 등 각종 지수도 시총 기준으로 구성돼 있어요. 🎯 시총에 따라 주식이 나뉘어요.1️⃣.. 2025. 6. 30.
ROA는 뭐고, 왜 중요한 거야? ROA는 Return on Assets,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이야. 기업이 보유한 전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지. 한마디로 “갖고 있는 모든 자산을 얼마나 잘 굴려서 돈을 벌었는가?” 이걸 보는 거야! ✅ ROA 계산법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예시로, 총자산이 2,000억 원인 기업이 100억 원을 벌었다면? → ROA = (100 ÷ 2,000) × 100 = 5% 즉, 자산 100원을 굴려서 5원을 벌었다는 의미야. ✅ ROE랑 뭐가 달라?ROE는 ‘자기자본 기준’ 수익성 ROA는 ‘전체 자산 기준’ 수익성 ➡ ROE는 부채가 많은 회사일수록 왜곡될 수 있지만, ➡ ROA는 전체 자산 기준이라 좀 더 객관적인 수익성을 보여.. 2025.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