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주식공부6

배당주란? 💸 배당이란?기업이 이익을 내면 일부를 주주에게 나눠주는 걸 말해요.이걸 ‘배당금’이라고 해요. 주식으로 수익을 얻는 방법 중 하나죠. → ‘배당주’는 배당금을 꾸준히 주는 기업의 주식이에요.→ 예: KT&G, 삼성전자, 하나금융지주 등 📅 배당은 언제 받는 걸까?한국 주식 시장에선연 1회, 12월 말 기준으로 주주명부에 올라야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그래서 배당락일 이전에 매수하는 게 중요해요. → ‘배당락일’이란?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이에요!이 날 주식을 사면 배당을 받을 수 없어요. 🔍 배당주 투자 포인트 1. 배당수익률 확인: 연간 배당금 ÷ 현재 주가→ 보통 3~6%대면 양호하다고 봐요! 2. 지속 가능성→ 몇 년간 꾸준히 배당을 했는지, 배당 성향은 어떤지 확인해요. 3. .. 2025. 7. 7.
우량주란? 우량주란 말 그대로 ‘우수한 기업의 주식’이라는 뜻이에요.구체적으로는 재무 상태가 안정적이고, 실적이 꾸준하며, 시장에서 신뢰를 받는 기업의 주식을 말하죠. ✅ 우량주의 조건은?1️⃣ 지속적인 수익 창출 • 매년 흑자를 내고 배당도 꾸준한 기업 • 경기 불황에도 잘 버텨요 2️⃣ 높은 시장 점유율과 브랜드 가치 • 대표 업종의 1~2위 • 소비자/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큼 3️⃣ 재무 건전성 • 부채 비율이 낮고, 유보율이 높음 • 현금흐름이 안정적이에요 4️⃣ 기관 투자자의 꾸준한 수요 • 연기금,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주 매수 • 장기적 관점에서 믿을 만한 종목이라는 뜻 📌 대표적인 우량주 예시 •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 SK하이닉스 • 현대차 • POSCO홀딩스 등 👉 대부분 시가총.. 2025. 7. 3.
시가총액? 그냥 ‘몸값’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시가총액(시총)은 쉽게 말하면 ‘그 회사의 현재 주식 시장에서의 몸값’이에요.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에 현재 주가를 곱한 것이 시총이에요. 시가총액 = 주가 × 총 발행 주식 수 예를 들어,삼성이 1주에 80,000원이고 총 60억 주를 발행했다면?→ 80,000 × 6,000,000,000 = 약 480조 원 이렇게 계산된 숫자가 바로 삼성전자의 시총이에요. 🔍 시총이 왜 중요한가요?시총은 투자 판단의 기준이 돼요. • 시총이 크면 시장 신뢰도 높고 안정적인 대형주 • 시총이 작으면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성이 큰 소형주 ETF 구성 기준도 대부분 시총 상위 종목 위주고,KOSPI200, KOSDAQ150 등 각종 지수도 시총 기준으로 구성돼 있어요. 🎯 시총에 따라 주식이 나뉘어요.1️⃣.. 2025. 6. 30.
ROA는 뭐고, 왜 중요한 거야? ROA는 Return on Assets,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이야. 기업이 보유한 전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지. 한마디로 “갖고 있는 모든 자산을 얼마나 잘 굴려서 돈을 벌었는가?” 이걸 보는 거야! ✅ ROA 계산법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예시로, 총자산이 2,000억 원인 기업이 100억 원을 벌었다면? → ROA = (100 ÷ 2,000) × 100 = 5% 즉, 자산 100원을 굴려서 5원을 벌었다는 의미야. ✅ ROE랑 뭐가 달라?ROE는 ‘자기자본 기준’ 수익성 ROA는 ‘전체 자산 기준’ 수익성 ➡ ROE는 부채가 많은 회사일수록 왜곡될 수 있지만, ➡ ROA는 전체 자산 기준이라 좀 더 객관적인 수익성을 보여.. 2025. 6. 27.
ROE? 들어는 봤는데… 뭔가 어렵다? 주식을 공부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용어가 있어요. 바로 ROE, 자기자본이익률이에요. 이 지표는 기업이 자기 돈(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해서 수익을 냈는지를 보여줘요. 간단히 말하면, “내가 가진 돈으로 얼마 벌었는지 보는 수익률 지표” 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 ROE 계산법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자기자본 1,000억 원으로 한 해에 150억 원을 벌었다면? → ROE = (150 ÷ 1,000) × 100 = 15% 즉, 내 돈 100원을 써서 15원을 벌었다는 의미예요! ✅ ROE가 높으면 좋은 회사?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좋은 회사로 평가돼요. 왜냐하면 그만큼 자본을 효율적으로 굴려 수익을 잘 낸다는 뜻이기 때문이에요... 2025. 6. 26.
주가순자산비율(PBR), 정말 중요한 지표일까? PER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지표, 바로 PBR이에요. PBR은 ‘이 회사의 주가가 자산에 비해 비싼지, 싼지’를 알려주는 기준점이에요. 특히 우량주 찾기나 저평가 종목 찾기에 많이 활용되죠. 그럼 PBR이 뭔지, 어떻게 해석하는지,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설명해볼게요! ✅ PBR이란? PBR은 Price to Book Ratio, 즉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해요. 공식은 아주 간단해요: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여기서 주당순자산(BPS)는 기업이 가진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이에요.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BPS가 10,000원인데 주가가 15,000원이면 → PBR = 15,000 ÷ 10,000 = 1.5배 이 말은, 자산가치보다 1.5배 .. 2025.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