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익성지표2

ROA는 뭐고, 왜 중요한 거야? ROA는 Return on Assets,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이야. 기업이 보유한 전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지. 한마디로 “갖고 있는 모든 자산을 얼마나 잘 굴려서 돈을 벌었는가?” 이걸 보는 거야! ✅ ROA 계산법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예시로, 총자산이 2,000억 원인 기업이 100억 원을 벌었다면? → ROA = (100 ÷ 2,000) × 100 = 5% 즉, 자산 100원을 굴려서 5원을 벌었다는 의미야. ✅ ROE랑 뭐가 달라?ROE는 ‘자기자본 기준’ 수익성 ROA는 ‘전체 자산 기준’ 수익성 ➡ ROE는 부채가 많은 회사일수록 왜곡될 수 있지만, ➡ ROA는 전체 자산 기준이라 좀 더 객관적인 수익성을 보여.. 2025. 6. 27.
ROE? 들어는 봤는데… 뭔가 어렵다? 주식을 공부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용어가 있어요. 바로 ROE, 자기자본이익률이에요. 이 지표는 기업이 자기 돈(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해서 수익을 냈는지를 보여줘요. 간단히 말하면, “내가 가진 돈으로 얼마 벌었는지 보는 수익률 지표” 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 ROE 계산법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자기자본 1,000억 원으로 한 해에 150억 원을 벌었다면? → ROE = (150 ÷ 1,000) × 100 = 15% 즉, 내 돈 100원을 써서 15원을 벌었다는 의미예요! ✅ ROE가 높으면 좋은 회사?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좋은 회사로 평가돼요. 왜냐하면 그만큼 자본을 효율적으로 굴려 수익을 잘 낸다는 뜻이기 때문이에요... 2025.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