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시총)은 쉽게 말하면
‘그 회사의 현재 주식 시장에서의 몸값’이에요.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에 현재 주가를 곱한 것이 시총이에요.
시가총액 = 주가 × 총 발행 주식 수
예를 들어,
삼성이 1주에 80,000원이고 총 60억 주를 발행했다면?
→ 80,000 × 6,000,000,000 = 약 480조 원
이렇게 계산된 숫자가 바로 삼성전자의 시총이에요.
🔍 시총이 왜 중요한가요?
시총은 투자 판단의 기준이 돼요.
• 시총이 크면 시장 신뢰도 높고 안정적인 대형주
• 시총이 작으면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성이 큰 소형주
ETF 구성 기준도 대부분 시총 상위 종목 위주고,
KOSPI200, KOSDAQ150 등 각종 지수도 시총 기준으로 구성돼 있어요.
🎯 시총에 따라 주식이 나뉘어요.
1️⃣ 대형주 – 시총 수십조 이상 (ex.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안정적이고 외국인·기관 수급이 활발해요.
2️⃣ 중형주 – 시총 수조~수십조
→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성장성 있는 종목들이 많아요.
3️⃣ 소형주 – 시총 수천억 이하
→ 급등락이 심해 투자에 신중함이 필요해요.
🧐 투자자 포인트 요약
• 시총은 회사의 시장가치를 나타내는 대표 지표
• 종목의 성격(안정형/성장형)을 구분하는 기준
• ETF 구성·지수 편입 여부에도 큰 영향을 미침
📚 오늘의 추천 도서
《기초부터 다시 배우는 주식투자》 – 염승환
→ 시총, PER, PBR 등 주식 기초 지표들을 아주 쉽게 설명
→ 초보 투자자가 헷갈려하는 지점들을 콕 짚어주는 입문서
→ 안정적인 투자 마인드까지 다잡아주는 책이에요!
🧠 오늘의 핵심 정리
“시가총액은 그 회사의 몸값이에요.
기업을 비교할 땐 꼭 주가만 보지 말고, 시총도 함께 확인하세요!”
'🍚 몽시스의 주식 한숟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량주란? (2) | 2025.07.03 |
---|---|
PBR이란? (5) | 2025.07.02 |
ROA는 뭐고, 왜 중요한 거야? (5) | 2025.06.27 |
ROE? 들어는 봤는데… 뭔가 어렵다? (3) | 2025.06.26 |
주가순자산비율(PBR), 정말 중요한 지표일까? (5) | 2025.06.25 |